본문 바로가기
건강

성인 홍역 예방접종과 대처법, 다시 떠오른 전염병

by 뉴스러브 2025. 3. 31.

홍역이 성인들 사이에서도 다시 대유행하고 있다는 소식을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. 과거 백신을 맞고 끝난 줄 알았던 이 질병이 왜 다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지,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는지, 그리고 이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1. 홍역 유행 원인

홍역은 홍역 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감염병으로, 주로 공기 중 비말을 통해 전파됩니다. 최근 들어 홍역이 다시 대유행을 하고 있는데, 그 이유는 집단면역의 저하와 해외여행의 증가에 있습니다.

1-1. 집단면역 저하

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백신 접종률이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면서 홍역 확산을 막기 위한 집단면역이 약해졌습니다. 홍역의 경우, 집단면역을 유지하려면 최소 95% 이상의 인구가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데, 이를 충족하지 못한 지역들이 많아졌습니다.

1-2. 해외여행 증가

홍역 바이러스는 감염성이 매우 강력해, 해외여행자들이 쉽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. 최근 몇 년간 해외여행이 다시 증가하면서 홍역 감염자 수 또한 급증하고 있습니다. 특히,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들은 더 큰 위험에 노출됩니다.

 

2. 홍역 증상

홍역은 처음엔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쉽게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홍역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, 이를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2-1. 성인의 홍역 증상

성인 홍역의 경우, 초기에는 콧물, 기침, 인후통과 같은 증상과 함께 38도에서 40도 사이의 고열이 발생합니다. 중기에는 눈 충혈과 결막염이 나타나고, 후기에는 얼굴에서 시작해 온몸으로 퍼지는 붉은 발진이 발생합니다. 심각한 경우 폐렴이나 뇌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2-2. 영유아 및 어린이의 홍역 증상

영유아와 어린이도 성인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, 면역력이 약한 1세 미만의 영유아는 폐렴, 중이염, 뇌염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큽니다. 또한, 입 안쪽에 회백색 반점(코플릭 반점)이 나타나며, 고열과 발진이 동반됩니다.

 

3. 홍역 예방접종 방법

홍역은 MMR 백신(홍역·유행성이하선염·풍진)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영유아는 생후 1215개월에 1차 접종, 만 46세에 2차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. MMR 백신 2회 접종 시 예방 효과는 97%에 달합니다.

3-1. 성인의 예방접종

1970년대 이전 출생자는 자연 면역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, 1970~199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 1회 접종만 받은 경우가 많아 추가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특히 해외여행을 계획 중이라면, 출국 최소 2주 전에 백신을 맞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4. 홍역 감염 시 대처 방법

홍역 예방을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백신 접종이지만, 감염 시 대처법도 중요합니다.

4-1. 위생 관리

홍역은 비말로 쉽게 전파되기 때문에 손 씻기, 기침 시 입 가리기 등 기본적인 위생 관리가 필수입니다.

4-2. 증상 발생 시 대처

만약 홍역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고,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. 특히 여행 후 감염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, 입국장 검역관에게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확진 시 정부에서 치료비를 지원하므로 적극적인 신고와 치료가 필요합니다.

 

 

 

볼거리 원인 초기증상 치료 및 예방 방법

갑자기 귀밑이 붓고 통증이 느껴진다면 볼거리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 볼거리는 주로 소아에게 발생하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지만, 성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오늘은

infoqution.com

 

마치며

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병이지만, 백신 접종과 기본적인 위생 수칙만 지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. 특히 해외여행을 계획 중이거나, 접종 이력이 불확실한 성인들은 미리 확인하고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댓글